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갑상선암 증상과 종류 예방법에 관하여 알아보자

by 뭉실또치 2025. 3. 29.
반응형

갑상선은 목 앞부분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기관으로, 체내 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티록신[T4] 및 트리요오드티로닌[T3])을 분비한다. 갑상선암은 이 기관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발생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갑상선암은 비교적 예후가 좋은 암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기 발견 시 완치율이 높다. 그러나 암의 종류에 따라 공격적인 형태를 보일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1. 갑상선암의 종류

갑상선암은 세포의 형태와 특성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1) 유두암 (Papillary carcinoma)
갑상선암 중 가장 흔한 형태(전체 갑상선암의 약 80~85%)
성장 속도가 느리고 림프절로 전이될 가능성이 있으나 생존율이 높음
젊은 여성에서 비교적 자주 발생
치료 후 예후가 매우 좋은 편

(2) 여포암 (Follicular carcinoma)
갑상선암의 약 10~15% 차지
혈류를 통해 폐, 뼈 등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있음
조기 발견 시 수술 및 방사성 요오드 치료로 좋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3) 수질암 (Medullary carcinoma)
전체 갑상선암의 약 3~5%
갑상선의 C세포에서 발생하여 칼시토닌이라는 호르몬을 분비
유전적 요인과 관련된 경우(MEN2A, MEN2B 등)가 있으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유전자 검사가 필요함

(4) 미분화암 (Anaplastic carcinoma)
갑상선암 중 가장 희귀하지만 가장 공격적인 형태
빠르게 성장하고 주변 조직 및 먼 부위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음
치료가 어렵고 생존율이 낮음



3. 갑상선암의 원인 및 위험 요인


- 갑상선암의 정확한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이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유전적 요인: 가족력이 있는 경우 갑상선암 발병 가능성이 높아짐
- 방사선 노출: 어린 시절 방사선 치료를 받았거나 방사능 누출 사고(체르노빌 원전 사고 등)에 노출된 경우 위험 증가
- 요오드 섭취 부족 또는 과다: 갑상선 기능 조절과 관련된 요오드의 과다 혹은 부족이 일부 유형의 갑상선암과 관련됨
- 여성 호르몬: 갑상선암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3~4배 더 많이 발생하며, 여성 호르몬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됨

 

 

4. 갑상선암의 증상

초기 갑상선암은 증상이 거의 없거나 미미하여 정기 검진 중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암이 진행되면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목에 만져지는 혹(결절)
목소리 변화(쉰 목소리)
삼킴 또는 호흡 곤란
목의 통증이나 불편감
경부 림프절 비대

 

5. 진단 방법

갑상선암은 다양한 검사 방법을 통해 진단된다.

(1) 신체 검사
의사가 손으로 목을 만져 혹이 있는지 확인하며, 혹의 크기와 딱딱한 정도를 평가한다.

(2) 초음파 검사
갑상선 결절이 악성인지 양성인지 감별하는 중요한 검사로, 종양의 크기, 모양, 혈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3) 미세침흡인세포검사(FNAC,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가느다란 바늘로 갑상선 결절에서 세포를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암세포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4) 혈액 검사
칼시토닌, 티로글로불린, 갑상선 호르몬 수치를 확인하여 갑상선 기능과 관련된 이상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5) 방사성 요오드 스캔
방사성 요오드를 이용하여 갑상선 종양이 방사성 요오드를 흡수하는지를 평가하는 검사로, 갑상선암의 유형과 전이 여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6) CT, MRI, PET-CT
암의 진행 정도 및 다른 장기로의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6. 치료 방법

갑상선암의 치료는 암의 종류, 크기, 전이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1) 수술 치료
갑상선 절제술: 종양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부분 절제 또는 전 절제 시행
경부 림프절 절제술: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림프절도 함께 제거

(2) 방사성 요오드 치료
갑상선암(특히 유두암과 여포암)에서 남아 있는 갑상선 조직 및 암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3) 갑상선 호르몬 억제 치료
수술 후 갑상선 호르몬(레보티록신)을 복용하여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을 억제함으로써 암의 재발 위험을 줄인다.

(4) 표적 치료 및 항암 치료
수질암이나 미분화암처럼 공격적인 갑상선암의 경우, 표적 치료제나 전통적인 항암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7. 예후 및 생존율

갑상선암은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예후가 좋은 암 중 하나다.

유두암 및 여포암: 10년 생존율 90% 이상
수질암: 조기 발견 시 예후가 양호하지만 전이된 경우 생존율 감소
미분화암: 치료가 어렵고 생존율이 낮음

 

 


8. 예방 및 건강 관리

 

정기적인 건강 검진(특히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방사선 노출 최소화
균형 잡힌 요오드 섭취
갑상선 기능 유지 및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9. 갑상선 건강에 좋은 음식

요오드, 셀레늄, 아연 등 갑상선 호르몬 생성과 대사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를 포함한 식품입니다.
요오드가 풍부한 음식: 해조류(미역, 다시마, 김)는 요오드가 풍부해 갑상선 호르몬 생산을 돕습니다. 그러나 과다 섭취하면 오히려 갑상선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양을 섭취해야 합니다.

셀레늄이 많은 음식: 브라질너트, 해산물(참치, 새우), 계란, 버섯 등은 항산화 작용을 통해 갑상선을 보호하고 호르몬 대사를 원활하게 합니다.

아연이 풍부한 음식: 굴, 소고기, 닭고기, 견과류(호두, 아몬드)는 갑상선 호르몬 합성과 면역 기능 강화에 기여합니다.
철분이 많은 음식: 시금치, 콩, 붉은 고기 등은 갑상선 기능을 돕고 호르몬 생성에 필요한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합니다.
비타민 D와 항산화 식품: 연어, 달걀노른자, 과일(블루베리, 오렌지) 등은 면역력과 갑상선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가공식품, 설탕, 카페인 등은 갑상선 기능을 방해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갑상선암은 비교적 예후가 좋은 암이지만,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정기적인 검진과 건강한 생활 습관을 통해 갑상선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상 증상이 있으면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반응형